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South Korea's Election Week – What’s at Stake? (Eng,Kor)

    목차

June 2025– Major Issues in South Korea

1. Politics | 2. Economy & Industry | 3. Culture


1. Politics – Final Stretch of Presidential Race & Constitutional Reform Proposals

With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set for June 3, the political landscape in South Korea is filled with tension. The main contenders, Lee Jae-myung (Democratic Party) and Kim Moon-soo (People Power Party), are intensifying nationwide campaigns.

Lee propos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mandates National Assembly approval within 24 hours if martial law is declared by the president. This reflects concerns over potential abuse of emergency powers and seeks to strengthen democratic oversight.

Meanwhile, Starbucks Korea made headlines for banning customers from using presidential candidate names on name stickers, citing the need for political neutrality inside stores. This unusual move by a private company reflects growing public sensitivity during the election period.


2. Economy & Industry – Export Decline and Rate Cut Signal Growth Worries

According to data released June 1, South Korea's exports in May fell by 1.3% year-on-year, reversing the positive trend of the past four months. The decline was mainly due to a sharp drop in auto exports, though semiconductor exports hit an all-time high.

The Bank of Korea lowered the benchmark interest rate to 2.50%, marking the fourth consecutive cut. Simultaneously, the 2025 GDP growth forecast was slashed from 1.5% to 0.8%, indicating deepening concerns over economic stagnation.

Experts point to weak consumer sentiment, global slowdown, and ongoing uncertainties in China. Household debt and sluggish capital investment are also adding pressure on the Korean economy.

3. Culture – Copyright Independence and Inclusive K-Pop Innovation

Rosé from BLACKPINK officially announced her departure from KOMCA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choosing to manage her copyrights via a global agency. This move symbolizes K-pop’s evolving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IP standards.

In another milestone, South Korea’s first deaf K-pop group, Big Ocean, launched its European tour. Utilizing vibration watches and LED metronome systems, the group showcases an inclusive model of performance that merges technology and accessibility in K-culture.






2025년 6월 – 오늘의 대한민국 주요 이슈

1. 정치 | 2. 경제 및 산업 | 3. 문화


1. 정치 – 대선 하루 전, 긴장 고조 속 개헌 논의 부각

2025년 6월 3일 예정된 제21대 대통령 조기선거를 하루 앞두고 정치권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시 국회가 24시간 내 승인하도록 헌법을 개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이는 민주적 통제 장치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한편, 스타벅스 코리아는 매장 내 정치 중립성 유지를 위해 고객의 스티커 이름에 후보명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결정을 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2. 경제 및 산업 – 수출 감소 전환 & 기준금리 인하

6월 1일 발표된 5월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대비 1.3% 감소하며 4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수출이 감소한 반면, 반도체 수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50%로 인하했고, 2025년 성장률 전망치도 1.5%에서 0.8%로 낮췄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문화 – 저작권 독립 선언과 포용적 K팝

블랙핑크의 로제는 KOMCA(한국음악저작권협회)를 탈퇴하고 글로벌 저작권 관리 체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K-POP 아티스트의 저작권 자율성 강화 흐름을 보여줍니다.

청각장애인 K팝 그룹 ‘빅오션’은 진동 워치와 LED 장치를 통해 무대에 오르며 유럽 투어에 나섰습니다. 이들의 활동은 기술과 포용이 결합된 K컬처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댓글

이 글도 관심 있으실 것 같아요!

삼쩜삼에서 환급 나온다더니, 국세청에선 없다? 진실 정리해드립니다!

  삼쩜삼 환급금 믿어도 될까? 실제 홈택스와 비교해보니... 요즘 많은 사람들이 삼쩜삼 을 통해 종합소득세 환급 여부를 빠르게 조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국세청 홈택스 에선 환급금이 없다고 나오는 경우,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는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삼쩜삼은 예상 환급금일 뿐이며, 실제 환급 여부는 반드시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왜 환급금이 다르게 보일까? 1. 예상 계산 vs 확정 계산의 차이 삼쩜삼은 사용자의 과거 이력 과 기본 공제 를 반영한 추정 계산 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홈택스는 실제 신고 데이터 를 바탕으로 정확히 계산하기 때문에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2. 누락 정보 또는 잘못된 소득 추정 프리랜서나 사업자의 경우, 소득자료나 공제자료가 누락되면 삼쩜삼 계산 결과가 실제와 차이날 수 있습니다. 3. 수수료와 세무대리인 등록 이슈 삼쩜삼은 환급금의 약 10~20%를 수수료 로 차감합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세무대리인 자동 등록 이 되었다는 사실을 나중에야 알게 되기도 합니다. 4. 홈택스 결과가 기준 삼쩜삼에서 환급이 있다고 나와도, 국세청이 최종 판단하여 환급 대상이 아니라고 결론 내리면 지급되지 않습니다. 비교표로 정리하면 항목 삼쩜삼 홈택스 계산 방식 예상 / 추정 확정 / 검증 공제 반영 일부 자동 적용 모든 자료 검토 환급금 신뢰도 참고용 공식 기준 수수료 있음 (최대 20%) 없음 세무대리인 자동 등록 가능성 있음 없음 꼭 기억하세요! 정확한 환급금 확인은 홈택스가 기준입니다. 삼쩜삼은 '간편 조회 도구'일 뿐, 실제 환급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불필요한 수수료를 피하고 싶다면 직접 신고 나...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년 5월부터 접수 시작! 청년 자산형성의 기회

  최대 1440만원까지 모을 수 있는 기회!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청년내일저축계좌 , 2025년 5월을 맞아 새로운 신청 접수가 시작됐습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3년 후 최대 1,440만 원 까지 모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지금부터 주요 내용들을 정리해드릴게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매칭 해주는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3년간 유지하면 본인 저축 + 정부지원금 + 이자까지 모아 최대 1,440만 원 을 받을 수 있어요. 신청 대상 구분 차상위 이하 차상위 초과 나이 만 15~39세 만 19~34세 근로소득 월 10만 원 이상 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50% 초과 ~ 100% 이하 정부 지원금 월 30만 원 월 10만 원 만기 수령액 (3년 후) 최대 1,440만 원 + 이자 최대 720만 원 + 이자 신청 기간 및 방법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오프라인 신청: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이후 절차 소득·재산 조사 (6~7월 중) 대상자 선정 통보 (8월 문자 발송) 통장 개설 및 첫 저축 (8월 1일~22일) → 하나은행 지점 또는 원큐 앱으로 개설 가능 가입 조건 유지 시 필수사항 3년간 근로활동 유지 금융교육 10시간 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은 일부 또는 전액 환수될 수 있음 주의사항 중복 가입 제한: 기존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가입자는 신청 불가 ...

📌 Samsung Electronics Investment Insights for 2025 Ticker : (005930)

 Company Overview Founded: 1969 Headquarters: Suwon, South Korea CEO: Young-Hyun Jun (appointed March 2025) Listed on: KRX (Korea Exchange) since 1975 Main Businesses: Semiconductors, Mobile, Displays, Consumer Electronics 📎 In March 2025, following the sudden passing of Co-CEO Han Jong-hee, semiconductor expert Young-Hyun Jun was appointed as the sole CEO of Samsung Electronics. His leadership is expected to focus on reinforcing the company’s technological edge and long-term competitiveness. Stock Overview (as of May 2025) Share Price: 52,400 KRW Market Cap: Approx. 384 trillion KRW PER: About 12x PBR: Around 0.99x → With both PER and PBR at relatively low levels, the stock is currently considered undervalued by many investors. Why You Should Consider Investing in Samsung Electronics in 2025 1. Booming Demand for AI and High-Performance Memory The rise of AI servers, autonomous vehicles, and cloud infrastructure has significantly...

외국인이 한국에서 통장 만드는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영문 버전 링크도 남겨드립니다. English  <<-  Click 외국인이 한국에서 통장 만드는 방법 총정리 1. 기본 조건 여권 외국인등록증 또는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한국 내 연락처 및 주소 입국 목적 증명 서류 (예: 재학증명서, 재직증명서 등) 2. 외국인이 이용 가능한 주요 은행 은행 외국인 계좌 개설 온라인뱅킹 토스뱅크 가능 (외국인등록증 필수) 가능 신한은행 가능 (지점 방문 필요) 가능 KEB하나은행 가능 (외국인에 친화적) 가능 우리은행 가능 (외국인 상담창구 운영) 가능 카카오뱅크 / 케이뱅크 불가 (외국인 지원 없음) 불가 3. 외국인 미성년자(15세)의 경우 필요한 서류: 여권 외국인등록증 또는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보호자의 동의서 및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해외 가족 증빙서류 재학증명서 또는 학생증 부모가 외국에 있는 경우: 공증된 위임장을 해외 영사관 등에서 발급 후, 한국 내 대리인을 통해 계좌 개설 가능 또는 학교 공문 등을 통해 계좌 개설 요청 4. 온라인뱅킹 이용 외국인등록증 소지 시 대부분 은행에서 온라인뱅킹 이용 가능 미성년자는 보호자 동의 필요 모바일OTP, 간편송금, 앱 로그인 기능 사용 가능 5. 추천 절차 요약 외국인등록증 발급 (90일 이상 체류 시 필수) 토스뱅크 또는 하나은행 추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도 사용 가능 미성년자는 위임장 또는 보호자 필요 은행 방문 전 미리 전화 문의 참고 링크...